IT 관련/Linux & NAS & IoT

Solaris10_u9에서 VNC 서버 설정.

댄지 2012. 10. 23. 11:34

_

_

가끔 DB팀에서 오라클 설치하려면 VNC로 접속해서 X-windows가 필요하다고 징징되는 경우가 있다.

이럴경우 vnc서버를 설정해야 하는데 보통 vnc서버 포트는 5900~5902 이정도 사용합니다.

당연히 해당 포트는 회사 정책 방화벽에서 풀어주시는 센스를 발휘해 주시공!~


그다음 Solaris 설정은 아래 링크의 솔라나라에 참고!(1,2번의 서비스 Online까지만 설정하면 됨)

http://www.solanara.net/solanara/vnc


그다음에 설정이 마치면 $>/usr/bin/vncserver 을 실행하여 서버 기동을 하게 됩니다.

그때 아래와 같은 메시지가 뜬다면!?

$>/usr/bin/vncserver 

$>vncserver: couldn't find "xauth" on your PATH.


아래 주소의 사이트에서 해결책을 찾을 수 있습니다.

http://d.hatena.ne.jp/yohei-a/20090616/1245145017



회사에서 사용하는 Solaris10_u9의 경우엔 아래와 같이 추가해 주면 되더군요

$>vi /etc/profile

PATH=/usr/openwin/bin:/usr/X11/bin:.

$>source /etc/profile

(oracle 계정에 사용권한을 주고싶다면 아래 명령어를 root에서 준후 oracle 계정에서 vncserver 실행

$>xhost +SI:localuser:oracle



위와같이 설정을 하고 실행하면 아래와 같은 모양으로 실행이 됩니다.

bash-3.00# /usr/bin/vncserver


You will require a password to access your desktops.


Password:   //접속비번을 설정

Verify:

xauth:  creating new authority file //.Xauthority


New 'testoracledb:1 ()' desktop is testoracledb:1


Creating default startup script //.vnc/xstartup

Starting applications specified in //.vnc/xstartup

Log file is //.vnc/testoracledb:1.log


그럼 즐거운 솔라리스 되시길 ㅎㅎㅎ